와이파이 연결됐는데 인터넷 안 될 때 체크할 것들
집에서 와이파이는 잘 연결됐다고 나오는데 인터넷이 안 되거나, 앱이 계속 로딩 중이라면 꽤 답답하죠. 실제로 와이파이 아이콘은 멀쩡히 떠 있는데 브라우저는 ‘인터넷 연결 없음’이라고 뜬다거나, 유튜브 영상이 안 열리는 상황. 오늘은 이런 문제를 겪었을 때 바로 확인해봐야 할 5가지 체크리스트를 정리해 드립니다. 이건 단순한 재부팅이 아니라, 실제로 ‘왜 안 되는지’를 파악하는 순서입니다.
1. 연결된 와이파이가 ‘인터넷 없음’ 상태인지 확인
휴대폰의 와이파이 설정에 들어가면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 이름 아래에 **‘인터넷 없음’ 또는 ‘연결됨(인터넷 사용 불가)’**라는 문구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럴 경우엔 단순히 연결된 것이지, 실제로 인터넷이 통신 중인 상태는 아닙니다. 라우터가 인터넷 신호를 못 받고 있는 것이죠.
2. 공유기(라우터)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기
가장 기본적인 방법이지만 효과도 좋습니다. 공유기의 전원 버튼을 껐다가 10초 이상 기다렸다가 다시 켜는 것만으로도 일시적인 오류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. 특히 전원이 오래 켜져 있던 공유기일수록 발열과 오류가 쌓일 수 있어 재부팅이 도움이 됩니다.
3. 휴대폰이나 노트북에서 ‘DNS 재설정’ 시도
간혹 와이파이는 연결되었는데 DNS 오류로 인터넷이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 이럴 때는 DNS 서버를 구글 DNS(8.8.8.8, 8.8.4.4)로 바꿔주는 것이 방법입니다. 아이폰: 설정 > Wi-Fi > 현재 네트워크 > DNS 구성 > 수동 변경 / 안드로이드: Wi-Fi 설정 > 고급 > IP 설정 → 고정 → DNS 설정 가능
4. 통신사 자체 문제인지 확인 (SK, KT, LG)
통신사 서버 장애로 인해 일부 지역만 인터넷이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 이럴 땐 통신사 앱(예: KT 고객센터, U+ 고객센터 앱 등)이나 네이버 실시간 검색창에 “KT 와이파이 장애”, **“LG 인터넷 장애”**라고 쳐보면 바로 상황 파악이 가능합니다. 다른 기기들도 동시에 안 되면 이쪽 가능성도 높습니다.
5. 와이파이는 되는데 일부 앱만 안 되는 경우
간혹 특정 앱만 실행이 안 되고, 나머지 앱들은 잘 되는 경우가 있어요. 이럴 땐 해당 앱의 서버가 일시적으로 불안정하거나, 기기 자체 캐시 문제일 수 있습니다. 이럴 경우엔 앱 강제 종료 후 재실행, 기기 재부팅, 앱 삭제 후 재설치가 해결에 도움이 됩니다.
‘와이파이는 연결되는데 인터넷이 안 된다’는 건 단순한 연결 문제가 아니라, 공유기, DNS, 통신사 문제, 앱 자체 문제 등 여러 원인이 얽혀 있을 수 있습니다. 위 체크리스트대로 하나씩 점검해 보면 대부분의 문제는 재부팅 없이도 해결 가능합니다. 자주 겪는 문제라면 공유기 펌웨어 업데이트, DNS 기본값 재설정 등도 한 번쯤 고려해 보세요.
'쉬운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BO 구장 좌석 비교 – 잠실·고척·문학 어디서 보는 게 제일 잘 보일까? (0) | 2025.04.12 |
---|---|
택시에 물건 두고 내렸을 때, 이렇게 하면 빨리 찾을 수 있어요 (1) | 2025.04.10 |
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과 자격 조건 (0) | 2025.04.09 |
원화 약세일 때 똑똑하게 돈 아끼는 5가지 방법 (1) | 2025.04.05 |
2025년 해외직구 & 해외결제에 유리한 환율 우대카드 비교 (1) | 2025.04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