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쉬운 정보

택시에 물건 두고 내렸을 때, 이렇게 하면 빨리 찾을 수 있어요

by swiunyaegi 2025. 4. 10.
728x90
반응형

택시에 물건 두고 내렸을 때, 이렇게 하면 빨리 찾을 수 있어요

갑자기 택시에서 내린 후 핸드폰이나 가방, 쇼핑백이 없다는 걸 알게 됐을 때 정말 당황스럽죠. 특히 요금도 카드로 자동 결제하고, 차량 번호도 못 봤다면 더 막막할 수 있어요. 하지만 아직 포기하긴 이릅니다. 오늘은 택시에 물건 두고 내렸을 때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신고 방법과 위치 추적 순서를 정리해 드릴게요.

 

 

1. 콜택시 앱(카카오, T맵, 우티 등) 이용했다면?

카카오택시: 카카오 T 앱 > 이용내역 > 해당 택시 클릭 > ‘유실물 문의’ 버튼 클릭 후 기사님 연락 가능

T맵 택시: T맵 앱 > 택시 > 하단 ‘이용내역’ > 유실물 신고 > 문자/전화

우티(UT): 앱 > ‘도움말’ 또는 ‘이전 탑승 내역’에서 유실물 문의

 

→ 호출 앱으로 탑승한 경우에는 기사님 정보와 차량 번호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가장 빠르게 연락 가능합니다. 대부분 기사님들이 다음 고객 태우기 전에 연락 오면 바로 응답해주시기도 해요.

 

 

2. 일반 택시(길거리 잡은 택시) 일 경우

가장 먼저 해야 할 것: 영수증 확인 or 카드사 결제 내역 확인

→ 결제한 카드사 앱에서 택시 상호명 또는 승차 시간/금액을 통해 차량 정보 단서 확보

→ 카드사가 다르면 ‘어떤 회사 택시인지’ 달라지므로 결제내역이 유일한 단서

 

3. 지역별 택시 유실물 신고 센터 활용

– 서울시 유실물센터: 02-120 다산콜센터 → ‘택시 유실물’ 말하면 바로 연결

– 경찰청 유실물 통합 포털: lost112.go.kr → ‘택시’로 키워드 검색

– 지역 택시조합 대표 번호 (예: 부산 051-625-4843 / 대구 053-554-6112 등)

 

→ 지자체별로 택시조합에서 유실물 접수받는 경우도 있으니 시/도청 홈페이지 참고

 

 

4. 택시번호 모를 땐? 카드 승인 시간+지역이 단서

→ 예: “4월 8일 밤 10시 38분, 강남역에서 택시 탑승, KB카드로 18,200원 결제”

→ 이런 정보만 있으면 카드사-택시 회사-조합 순으로 추적 가능

→ 서울은 02-120 → 택시유실물 신고하면 이런 정보 전달 시 기사님 연결 가능성 높음

 

5. 택시 내 물건이 유실된 후 3일 내 대응해야 확률↑

– 기사님이 다른 승객에게 전달했거나 경찰에 맡기는 경우 많음

– 3일 지나면 경찰청 유실물 포털로 이관되는 경우가 많아 복잡해지므로 가급적 1~2일 내 조치 필수

– 경찰서에 물건이 맡겨졌는지 확인하려면 [Lost112] 포털에서 키워드 검색도 가능


택시에 물건을 두고 내렸을 때는 호출 앱 여부 > 결제 정보 확인 > 유실물 신고 순서만 기억해도 대부분은 되찾을 수 있습니다. 무작정 기사님이 돌아오길 기다리는 것보다, 빠르게 앱과 카드사, 지역 조합에 연락해 보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. 다음부터는 꼭 내리기 전에 뒷좌석 확인하는 습관도 함께 챙기시길 추천드립니다.

728x90
반응형